생활, 부동산, 세제, 세금 (Tax and Policy)

얼마가 적당한 세뱃돈일까요? 세뱃돈 용돈 주식투자?

지설2000 2023. 1. 17. 13:14
728x90

얼마가 적당한 세뱃돈일까요?

요즘 명절이 다가오고 다들 세뱃돈 준비하시느라 고민들이신가봐요. 도대체 얼마가 적당한 세뱃돈일까요? 

집집마다 형편이 다르고 관계나 사이에 따라서 주는 금액도 다르긴 하겠지요. 또한 아이들, 조카들이 여러명이면 정말 몇십만원은 우습게 나가기도 합니다. 아래는 여기저기 맘카페등의 댓글들을 취합해서 제일 많이 나온 금액들로 추려보았어요. 세뱃돈 준비하시는데 참고하셔요. 참고용이니 다른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기왕 주는 거면 예쁜 봉투에 담아서 편지까지는 그렇더라도 기분 좋게 신권으로 준비해 주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그동안 모아둔 경조사비 한방에 사라지겠어요. 

 

또 한 가지 알아본 팁은 다들 살림살이 규모도 다르고 하기에 가능하면 집안의 어른들께서 적당한 금액으로 룰을 정해 놓으면 서로 많다 적다 하는 그런 말들도 안 나올 듯 합니다. 다들 집집마다 다르잖아요. 

유아기 1만원 아가들은 아직 돈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들도 많아서 '이런 행사, 또는 좋은 문화가 있다' 라는 걸 아는 정도가 가장 좋은 듯 합니다. 
초등학생 아이들  2~4만원 이제 학교도 들어가고 친구들을 본격적으로 사귀죠. 그리고 초6과 초1은 많이 다르기에 사실 1만원부터 4만원 사이에 차이를 주는게 좋은 것 같아요.
중학생 사춘기 3~5만원 친구들도 만나고 이젠 필요한 용품도 스스로 구매하고 식사나 카페도 다니기 시작하는 나이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돈을 소비하지요. 
고등학생 형아누나들 5~10만원  사실 요즘 고등학생은 스스로 돈을 벌기도 하고 모으기도 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리고 많은 시간을 밖에서 보내기에 식사등 스스로 필요한 물품을 사는 것 외에도 소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5~10만원정도. 
대학생 어른 10만~20만 사실 성인이지요. 하지만 그래도 세뱃돈은 겟하고 싶은 마음? 이 정도 나이면 아르바이트로 스스로 벌어 쓰기도 하고 어느 정도 돈의 크기에 대한 개념도 있기에 10~20만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생이 많은 집안은 세뱃돈 어떻게 준비하죠? 

머니S픽에서는 진행한 설문에서는 아래처럼 세뱃돈 금액을 참고하라고 하네요. 

①미취학 1만원 /  ②미취학 5만원

③초등학생 1만원 / ④초등학생 5만원

⑤중·고교생 5만원 / ⑥중·고교생 10만원

⑦대학생 이상 5만원 / ⑧대학생 이상 10만원 이상

 

머니S픽에서는 덧붙이기를 1960년대 10원 정도였던 세뱃돈은 물가 상승과 고액권 등장으로 점차 금액이 올라갔습니다. 500원짜리 동전이 등장한 1980년대 초부터 세뱃돈은 1000원이나 5000원을 줬고 1990년대 들어선 1만원권 지폐가 기본이 됐습니다. 5만원권이 생긴 2000년대엔 액수가 더 크게 늘었습니다. 어쨋든 정답은 없습니다. 살림살이에 집집마다 다르고 그에 맞게 주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세뱃돈 용돈 주식투자? 

요즘엔 재테크, 투자가 어디서든 대세잖아요. 그에 맞게 받은 세뱃돈으로 투자를 생각하는 학생들도 많다고 하네요. 

청소년에게 본인 명의의 주식계좌 보유 여부를 질문한 결과, 보유하고 있다는 답변이 43%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 중 절반은 부모가 자녀 명의의 계좌를 운영 중이며, 나머지 절반은 본인이 직접 관리한다고 답변했다네요.

 

청소년들은 ‘세뱃돈을 투자하는 방법’으로 예금성 자산(41%)보다 주식(58%)을 선호하는 것으로 삼성증권(016360)(사장 장석훈)이 지난 12일 진행했던 언택트컨퍼런스에 참여했던 고객 9629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설문과 17~19세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나타난 결과랍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언택트컨퍼런스에 참여한 설문 응답자들은

 

세뱃돈으로 자녀에게 선물해주고 싶은 해외종목으로

  1. 테슬라(40%)
  2. 애플(27%)
  3. 엔비디아(7%)
  4. 알파벳(5%)

 

반면, 청소년들이 세뱃돈으로 투자하고 싶은 해외종목으로는

  1. 애플(35%)
  2. 알파벳(23%)
  3. 테슬라(20%)
  4. 아마존(7%)